본문 바로가기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간질 증상과 치료법 케토성 식사

by 그레이그레잇 2023. 3. 12.

신경계질환 간질

 발작은 뇌신경세포가 급작스럽게 과도한 전기를 방출시켜 일어나는 경련, 감각장애, 의식불명, 등의 신경계 증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간질이라고 합니다. 치료는 항경련성 약제 약물을 사용하며 약물에 대한 내성이 없거나 항경련제 약제에 대하여 전혀 반응이 없는 일부 환자들에게는 케톤식이 발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간질병의 증상

 전형적인 증상인 발작은 전신발작과 부분발작으로 나뉩니다. 전신발작은 아무런 전구증상 없이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며, 전신의 근육에 수분 정도 경련이 일어납니다. 부분발작은 스스로 전구증상을 느끼며 손, 발, 입 등에 자신도 모르는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흔합니다. 

간질 치료에 필요한 약물과 영양

 간질은 유전, 출생 시의 뇌 손상, 머리의 외상, 뇌의 감염, 열성 경련, 알코올 의존증, 중금속 중독, 혈액의 성분이상(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혈당증 등), 뇌출혈, 뇌경색, 치매 등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50%나 됩니다. 우리나라의 간질 환자는 약 30만~50만 명으로, 대부분 어린이와 노인에게서 증상이 나타납니다. 

 간질의 치료는 항경련성 약물을 사용하는데 이 중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프리미돈 등은 간에서 비타민D 대사를 증가시켜 칼슘의 장내 흡수를 방해합니다. 따라서 장기간 약물치료를 받는 경우 골연화증, 구루병이 생길 수 있으므로 비타민D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엽산 보충은 페니토인 대사를 방해하여 약효를 떨어뜨립니다. 경관급식을 진행할 때에는 페니토인의 흡수가 억제되므로, 

이때는 약물의 용량을 크게 증가시켜야 합니다. 약물 투여 전후 2시간 동안 경관급식을 중지하면 저용량으로 약물의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난치성 간질을 위한 케토성 식사 

 간질의 기본적인 식사요법은 항경련성 약제와 함께 균형 잡힌 적절한 식사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약물에 대한 내성이 없거나 항경련제 약제에 대하여 전혀 반응이 없는 일부 환자들에게는 케톤식이 발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혈장 내 케톤체의 수준이 높을 때 항경련성 효과가 있기 때문에 케톤증을 유도하도록 식사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특히 10세 이하의 아동에서 효과가 큽니다. 

 케톤식은 당질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지질을 총 에너지 섭취량의 80~90%까지 증가시킵니다. 일반 식사는 케톤성인 지방과 항케톤성인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비율이 1:3 정도이나 경련을 조절할 수 있을 만큼의 케톤증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3~5:1 정도까지 조절되어야 합니다. 급속한 케톤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절식이 필요합니다. 3~5일의 절식기간에는 제한된 양의 물, 고기 국물, 차, 과일, 180~240mL 정도의 무가당 오렌지주스를 공급합니다. 좀 더 쉽게 케톤증을 유발하기 위해 중간사슬중성지방 MCT oil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단백질은 어린이의 적절한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1~1.2g/kg을 공급하며, 당질은 총에너지의 10% 미만으로 극히 소량만을 공급합니다. 수분은 65ml/kg정도로 제공하며 하루 섭취량이 2L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케톤증이 유발된 경우 소변에는 옥살산, 디아세트산, 아세톤 등 케톤체를 배설하게 됩니다. 케톤식을 할 경우 메스꺼움, 구토, 설사, 체중감소,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호중구의 기능 저하로 감염되거나, 저혈당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케톤식은 극도로 맛이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섭취하기 매우 어렵고, 성인의 경우에도 오랜 기간 섭취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케토성 식사를 맛있게 준비하기 위한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버터, 기름, 지방을 소화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화제를 처방합니다. 열량이 적은 감미료로 단맛을 냅니다. 얼린 크림에 적당량의 과일주스와 인공감미료를 섞어 아이스크림을 만들어 먹습니다. 크림과 달걀을 이용하여 커스터드 크림이나 에그노그를 만듭니다. 또한 크림과 채소즙을 혼합한 크림수프를 만들어 먹습니다. 젤라틴을 사용하여 후식을 만들어 먹습니다. 이는 식욕을 돋워 줍니다. 마요네즈와 기름을 이용하여 채소와 함께 샐러드를 만들어 먹습니다. 식사 시 채소를 섭취할 때 버터나 마가린을 넣고 익힌 채소를 함께 공급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