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8 섭식장애 신경성 식욕부진과 폭식증의 이해와 치료법 섭식장애는 체중과 먹는 것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며 자신의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이상한 인식을 가지고 있어 섭식 행동에 이상을 초래하는 정신적 장애입니다. 섭식장애는 크게 신경성 식욕부진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증상과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신경성 식욕부진과 신경성 폭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은 의도적으로 굶거나 토하거나 운동을 많이 하여 체중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최소한의 정상체중 유지도 거부하면서 계속해서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갖고 있어 체중이 정상 이하로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인이 뚱뚱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본인의 저체중 상태의 심각성을 부인합니다. 음식을 먹으면 먹는 만큼 살이 찐다는 .. 2023. 3. 3. 당뇨병의 이해와 분류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당뇨병은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입니다. 당뇨병을 방치할 경우 동맥경화증, 신경성망막증 및 만성신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및 식사 요법 등 자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을 통한 적극적인 당뇨병 관리가 시행되어야 합니다. 1. 당뇨병의 이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서구에 비해서는 아직 낮은 편이나, 2001년에 만 30세 이상 성인 인구 중 8.6%, 2007년 9.5%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당뇨병에 대한 국민의 인지율 및 치료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아직도 선진국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는 실정입니다. 당뇨 현상은 혈당이 신장 역치인 180~200mg/dL 이상인 경우 당이 신장에서 재흡수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설되.. 2023. 3. 2. 고혈압의 진단과 식사 관리 고혈압은 혈압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고혈압은 관상동백 질환, 뇌졸중, 만성 심부전 등의 위험요인이 되므로 적극적으로 치료하여 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사망률도 낮춰야 합니다. 1. 고혈압의 진단 및 원인 우선 혈압에 대해 알아보자면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의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합니다. 심장박출량과 혈관의 저항 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혈압은 심장박출이 충분하여 체순환이 원활히 될 수 있을 정도로 높아야 하나, 혈관에 손상을 입힐 정도로 높지는 않아야 합니다. 심장박출량은 1회 박출량과 심장박동수를 곱한 수치입니다. 1회 박출량은 수축기에 좌심실에서 박출되어 나오는 혈액의 양입니다. 심장박출량이.. 2023. 2. 28. 췌장질환 급성췌장염과 만성췌장염 췌장염은 췌관의 폐쇄로 인해 췌장액이 조직에 스며 염증을 유발하여 발생됩니다. 췌장염의 흔한 원인은 담석, 만성 알코올 의존증, 흡연, 이상지질혈증, 종양, 고칼슘혈증 및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습니다. 급성췌장염과 만성췌장염으로 분류되는데 원인과 식사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은 위장의 아래 십이지장 만곡에 위치한 길이 약 15cm, 폭 3~5cm, 무게 60g 정도의 약간 흰색을 띠는 장기입니다. 췌장분비세포에서 췌장액을 분비하여 췌장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내보냅니다. 내분비기능과 외분비기능이 있는 유일한 장기로 외분비선의 췌장세포는 소화효소나 NaHCO₃를 함유한 약알칼리성액을 하루에 약 1.5~2L를 십이지장으로 분비하여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소화작용을 도와줍니다. 췌장.. 2023. 2. 28. 이전 1 2 3 4 5 6 7 다음